목록분석 (3)
MyCloud
OSI Reference Model은 네트워크 통신 과정을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한 산업 표준 참조 모델입니다.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먼저 계층 구조가 어떤 것인지, 적용하면 어떤 점이 좋은지를 알 필요가 있습니다.계층 구조(Layered)는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데,계층 구조를 사용하는 목적은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때문입니다.어떠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나누어 생각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 입니다.또한, 계층 구조의 특징은 위, 아래 층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건너뛰어 한번에 맨위 또는 아래로 갈 수 없습니다. OSI 7 Layered Model 초창기의 네트워크는 각 컴퓨터마다 시스템이 달랐기 떄문에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상에서 호스트와 호스트 간에 정보(data)를 주고 받는 전달 방식에는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과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이 있습니다. Packet - switching 먼저 Packet switching은 데이터를 패킷(packet)이라는 단위로 쪼개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패킷은 다음 링크로 전송하기 전에 저장을 한 뒤 전달하는 store and forward 방식을 따릅니다.패킷의 헤더에는 출발지(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정보가 있습니다.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경로를 설정하고, 중간의 라우터들을 거쳐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게 됩니다.이러한 과정에서 패킷은 다음 라우터로 이동하기 위해 큐에서 대기(queueing)하는..
안드로이드에서 버튼 만드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첫번째는 xml의 onClick 속성을 통해 함수를 만드는 방법두번째는 onClickListener 인터페이스의 onClick 함수를 오버라이딩해서 만드는 방법입니다.하나씩 만들어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 xml의 onClick 속성을 통해 만드는 방법 먼저 xml의 onClick 속성을 통해 만드는 방법입니다. 1. 먼저 xml 파일의 Design 탭을 누르고 Widget 중에서 Button을 클릭합니다.다음 원하는 위치로 커서를 옮기면 위와 같이 버튼이 생성됩니다. 2. 다음 우측의 Properties 항목중에서 onClick 속성을 누른 후 원하는 함수 이름을 적어줍니다.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